1. DHCP
DORA
Discovery, Off, Request, ACK
IP/UDP
처음에 source IP가 없기 때문에 0.0.0.0
목적지 MAC
FF:FF:FF:FF:FF:FF
UDP port number
Client source 68
Server source 67
IP static routing
-
DHCP relay
-> 서로 다른 네트워크대역에 서버가 있을시 브로드 캐스트를
유니캐스트로 변경하여 전송.
ip helper-address ClI(Cisco)
dhcp server IP
dhcp relay IP
L3 switch ->
(config)service dhcp relay
동작이 안될 때 실행 해본다.
switch가 사용하는 리눅스
-> Zebra(IPv6가 지원이 안 됨), ZebOS
-> 특징: 브로드캐스트가 유니캐스트.
Discovery
source udp port number
68
dest dup port number
67
relay 유니캐스트에서 source, destination 전부 67로 변경됨.
->source udp prot number 67
->dest dup port number 67
DHCP snooping(운용때문에 중요하다)
-> IP Static routing
-> 사용하는 이유
IP를 사용해서 통신을 하는 이유는
다른 네트워크 대역으로 가기 위해서 ,
장비는 기계이기 때문에
스스로 학습하지를 않아서,
모르는 길에 대해서 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을 한다.
show ip route
c ->connected (자기가 알고 있는 네트워크 대역)
ip route 목적지 networkID, 서브넷 마스크, 보낼 곳(next hop)
default router
VLAN
=> 브로드캐스트를 효율적으로 이용.
TTL
=> 라우터를 거쳐간만큼 숫자가 줄어든다.
load blance(두 갈래 길)
-> 라우팅의 길이 2개 이상. 한쪽은 링크는 되나 다른 한쪽은 안 될 수도 있다.
!.!.! = ping이 loss가 발생.
=> 절체/복구
tracerouter = 라우터가 지날때 마다 IP를 보여주는 명령어.
default
0.0.0.0
AD(Advance)값
낮을수록 우선순위 높음.
0이면 가장 높음
C는 0.
S는 1.
ip route 0.0.0.0 IP 보낼 AD값(255까지)
ip route 0.0.0.0 0.0.0.0
erase start-config
=>설정을 지우는 명령어.
reload => 다시 껐다가 켠다.
static routing
관리자가 직접 수동으로 라우터 작업.
단점
그래서 라우터가 자동으로 반응하지 못하면 관리자가
직접 네트워크의 변화를 라우터에 설정.
dynamic routing
routing protocol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route
정보를 수집한다.
network 변화에 대해 자동으로 반응한다.
RIP protocol
EIGRP
OSPF
->
IGRP = cisco에서 만든 RIP기능 프로토콜
멀티캐스트는 IP가 정해져 있다.
source를 보고 라우팅한다.
classful = class A,B,C처럼 고정되어있는것. RIPv1(서브넷팅 불가능), IGRP
classless = 자유로움 RIPv2(subneting이 가능)
라우터의 최단거리를 선택.
advance(link state) distance(거리) Vector(방향) : EIGRP
몇 차선인지도 본다. 링크의 갯수도 본다.
OSPF
EGP :BGPV4(classless)
Link State : OSPF, IS-IS(Classless)
Distance Vector
hop count = 16개를 못넘어감. 최대 15개.
router hop을 지나가는 경로의 갯수.
RIP 특징
-----------동적 라우팅의 조상 RIP-----------
1) 동적라우팅
* Network가 업데이트 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업데이트가 된다.
2) distance vectro를 사용
* hop count 로 판단
-> 최대 15
3) Neighbor를 맺지 않는다.
4) 30초마다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
으로 전체 라우팅정보를 광고 한다.
(UDP 패킷으로 송신. port number 520번)
5) 자기가 받고나서 240초 이상 그 라우팅 경로에
대한 정보가 없을 시 삭제한다.
6) 180초 만료
7) 동적라우팅은 network정보입력시
자신이 들고있는 network만 입력한다.
load blance(두 갈래 길)
-> 라우팅의 길이 2개 이상. 한쪽은 링크는 되나 다른 한쪽은 안 될 수도 있다.
!.!.! = ping이 loss가 발생.
=> 절체/복구
tracerouter = 라우터가 지날때 마다 IP를 보여주는 명령어.
AD(Advance)값
낮을수록 우선순위 높음.
0이면 가장 높음
그러니 아래 두 그림을 비교해보자.
바로 아래그림에서는 AD 설정전에는 분명히 30.1.1.2 경로도 거쳤었다.
그러나 30.1.1.0대역에 AD를 100을 설정한 이후에 더이상 30번대 대역으로는 가지 않는다. AD값을 100으로 설정하여
우선순위를 낮췄기 때문이다.
default route(static route의 일종으로 반드시 0으로 설정. 그러면 해당 라우터가 알지 못하는 대역대로 route하게 함.)
응용실습 2
PC가 브로드캐스트하면 가운데 router까지만 가서 가운데 router를 relay 설정을 해야한다.
가운데 라우터 설정에 서버에 relay를 해야 하므로 ip-helpler-address 명령어를 입력한다. 이 때, 반드시 server IP를 입력해야한다. 아래 그림은 vlan 10에 해당하는 서버를 설정.
최종적으로 가운데 라우터는 설정 IP는 이렇게 된다.
가운데 라우터뒤에 라우터 2개가 있기 때문에 static route를 한다.(아직 dynamic은 배우지 않았다!!)
아래 그림처럼 routing 테이블에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한다.
가운데 스위치 설정.
아래쪽 스위치와 PC가 vlan을 나눌 필요가 없으므로 2, 3 port는 access로 놔둔다.
트렁크는 위쪽 포트만 설정한다.
'네트워크 > L2_L3 Packet_tracker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14일 동적 라우터 실습(EIGRP, OSPF등..), 간단한 스위치 계정 설정. (0) | 2018.06.14 |
---|---|
6월 12일 RIP, EIGRP 동적 라우터 (0) | 2018.06.12 |
6월 5일 dhcp 복습 및 응용 (0) | 2018.06.05 |
5월 31일 vpn, dhcp 실습 (0) | 2018.05.31 |
5월 29일 프레임 구조와 vlan 응용실습 (0) | 2018.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