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송시혁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Tag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1) access 포트 결정

   (PC와 서버는 access 모드로 연결)


2) Trunk 포트 

   


DHCP 를 통해서 할당 받으려 한다. 아래 동그라미 부분에서 server와 연결된 포트는 access 모드로 설정하여야 한다.







DHCP relay 실습



나머지 vlan 만들고 설정하는 명령어는 생략. 조금 헷갈리는 부분만 포스팅 함.


서버의 IP.


라우터 IP에는 PC의 IP를 설정한다. 각각의 vlan  마다 설정. 그리고 서버의게이트웨이 IP를 설정.


하지만 유니캐스트 IP로는 반드시 ip-helper-address로 서버 Ip를 설정한다.



static routing 


Static 라우팅이 먼저 나옴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토폴로지(지도)를 보고

내가(라우터)에서 모르는 길을

직접 입력해주어 그겻에 따르는것

-> 망이 점차 확대됨.

->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할일이 많아지고, 

   밤낮이 없어진다.


   명령어 형식

   ip route [목적지주소] [네트워크 마스크] [보낼곳]

   

   

   

Dynamic 라우팅

-> 정적라우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나온것으로, 내가(라우터)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대역대를 입려만 해놓으면

   연결되 장비(neighbor)와 의사소통하여 라우팅 네이블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한다.

   


static routing 실습
router 0과 router 1은 각각 10.1.1.1, 10.1.1.2로 설정
router 1과 router 2는 각각 10.1.1.6, 10.1.1.7로 설정
router 2와 router 3은 각각 10.1.9., 10.1.1.10으로 설정
 서브네 마스크가 /30으로 설정하였다.


라우터 0과 라우터 1은 통신이 되지만 그 다음 라우터 2와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통신이 되게끔 하려면
라우터 1에게 부탁하여야 한다. 여기서 라우터 1은 라우터 1을 기준으로 next hop이 되는 것이다.

   ip route [목적지주소] [네트워크 마스크] [보낼곳]

목적지 주소는 네트워크 대역대 대표 이름으로 설정.(cisco는 그렇고, 나머자 다른 장비들은 대역대를 안써도 해당 IP에 해당되는 대역대를 자동으로 인식 되는것도 있다.), 여기서는 10.1.1.4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252 (/30)
보내는 주소   = router 1의 IP.

따라서 아래와 같은 그림이 된다.


라우터 1도 마찬가지로 라우터 2에게 위와 같은 방식으로 부탁.



반대로 라우터 2가 라우터0의 대역을 알고자 할 때 아래와 같이 한다. 







   

   <show ip route>

C - connected 대역(우선순위 가장 높음)

    내가 직접 연결되어있는 네트워크 대역


static 라우터를 조회.










posted by 송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