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송시혁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Tag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합격

솔직히 실기보다 필기가 더 어려웠다. 7월 21일 실기 문제 복기는 자격증 발급받고 할 예정이다(아래는 간략하게 글만 적음). 암튼 첫 국가공인 자격증을 땄다. 너무 기쁘다!!!


이제 CCNA와 정보보안기사, 리눅스 마스터1급 차원이 다른 자격증만 남았다. 열심히해서 따자.


대략 생각나는 대로 실기부터 적자면 다음과 같다.



1. UTP 케이블 다이렉트 (제한시간 10분)

   -> 다 만들면 바로 2번문제 풀어도 된다. 기다릴 필요 없음. 


window 2008 R2 server (2~9)

2. TCP/IP 설정.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dns/보조 dns등은 문제에서 지시하는대로 설정함.

   단, IP 설정은 범위내에서 가장 뒷자리를 설정해라고 함. 서브넷이 255.255.255.0 (24bit)

   라서 x.x.x.254로 설정(x는 IP가 기억이 안나서 저렇게 표시)


3 ~ 9번은 순서가 기억이 안난다. 대충 적으면 다음과 같다.


web 사이트 추가, 기본문서 index.html만 기본문서 설정하기. index.html만 남기고 싹다 지운다.

나머지는 이름과 웹 호스트 이름, 포트번호는 문제제시대로 설정함.


FTP 사이트 추가

최대 연결 수, 접속시 환영 메시지? 등등 기억이 잘 안나지만 비스하게 나옴


DNS 설정 


DCHCP 설정



로컬 사용자 및 그룹 정책


암호를 변경할 수 없음, 소속그룹 administator만 , 권한은 xxxx만 읽기쓰기? 권한 허용. 나머지는 안됨.

등등에 관한 문제


서비스 관리자

=> 이 문제 맞추긴했는데 뭐가 나왔는지 기억이 안남


로컬 보안정책


암호와 계정 설정. 예를 들어 로그인 실패시 유휴시간과 횟수 제한 등.


단답형 10~15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가 주어지고 해당 IP의 네트워크 이름(대표 네트워크) 구하기 


리눅스 명령어 문제 답 : netstat 


그림 나오면서 기술 적는 것 (그림이라 복기 못함)

답 : vlan


TCP특징으로 틀린것 고르기


IPv6의 특징 괄호되어있는곳 유티캐스트, 멀티캐스트, (A)캐스트 .... mac길이(B)


답: 

A - 애니캐스트

B- 128bit


이런 문제였음.


한 문제 더 있는데 기억이 안남 ㅜㅜ



라우터 문제 16~ 18번문제(제한시간 20분)


1. 라우팅 테이블 조호문제 (그림이라 복기 못함)

 답:   show ip route

        copy r s(copy r s 먹힌다. 그래도 모르닌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풀로 입력하자!!

                  어차피 문제에서 저장하라고 문구가 주어지니 단어를 외우지 않아도됨)

        startup-config 저장 (저장시 이름 지정인데 이것도 안적고 enter만 쳐도 된다고 되어있지만 그래도 모르닌 적어주                                자!! 어차피 시간은 남아 돈다.



2. static routing 설정 문제 (디폴트는 설정하면 안된다고 문제에서 제시됨)

ip route 목적지 주소 대역대(네트워크 이름)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next-hop 주소


예를 들어 ip route                   192.168.1.0                    255.255.255.0     192.2168.2.1

           (static router 명령어)   (목젖기 주소 대역대 )        (목적지 서브넷)  (next-hop = 인접한 라우터 주소)


참고로 위 그림과 같이 많이 띄울 필요 없이 한 칸만 띄우면 됨. 그림이 없어서 이해가 안갈 수도 있다. 그거는 나중에 포스팅. 이것도 마찬가지로 저장. no shutdown은 필요없으나, 혹시 모르니 포트에 반드시 해주자. 이 문제에서는 일일이

IP를 설정할 필요는 없다. static routing시에만 주어진 ip를 설정하고 저장하면 된다.


3. ip secondary 설정.

문제가 IP가 설정되고 그아래에 보조 IP를 설정한다고 되어있다.


답 : 해당 포트, 인터페이스에 들어가서 

ip address x.x.x.x x.x.x.x

ip address x.x.x.x x.x.x.x secondary를 설정.

그리고 가장~~~~~~~~~~~~~~~ 중요한 

no shutdown!!!!!!!!!!!!!!!!!!!!!!!!!!!!(필자는 이거 안해서 여기서 한 문제 틀렸다. 100점의 꿈이 날아갔다. ㅇㅅㅇ ㅜㅜ)

반드시 해야한다. 

그리고 copy r s저장.













posted by 송시혁

tcp dump 시나리오 

1. 10.1.0.1에 index.html을 다운받는동안 캡쳐하기 



2. 10.1.0.10에 존재하는 기본문서인 index.html을 fetch명령어로 다운.



tcpdump icmp(ping)을 캡쳐 실습


아래와 같이 ping을 보낸다.


ping을 보낸 source IP와 destination IP를 확인할 수 있으며, echo request/reply도 확인된다. 

명령어는 tcpdump icmp 혹은 tcpdump src 10.1.0.20 && icmp라고 입력해도 된다. 



posted by 송시혁


▶ 분산파일시스템 (DFS)에 의한 리소스 관리 : 공유폴더 관리 TCO절감 (업무지원)

조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을 하게 되고, 네트워크의 규모도  커진다.

관리해야할 컴퓨터의 수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일반 사용자들이 다음과 같은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불평> 느려진다. 내가 찾을려고 하는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겠다.


관리자가 파일의 실제 네트워크 위치와 관계없이 폴더 및 파일의 논리적 보기를 

만들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분산파일시스템 실습 


DFS 네임스페이스 추가


나중에 자동복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하연 밑에 도메이 기반 네임스페이스를 체크확인.

아래 빨간줄이 DFS시스템 이름이 된다.



캡쳐를 못하였지만, 다음-다음에서 해당 공유폴더를 지정하는 창이 나온다.

추가-찾아보기-"SRV1"로 입력하고 공유폴더관리- doc1(해당폴더)을 클릭하여 추가한다.

나머지 doc2, doc3도 각각 "SRV2", "SRV3"에서 공유폴더관리를 클릭하여 추가한다.



관리자 - DFS관리에 들어가면 각각 doc1, doc2. doc3이 보인다. 

각각 이름도 바꾸어 본다.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 된다. 


DFS 복제 실습 

서버 2, 3에서 wwwroot를 공유하여 복제 실습한다.


아래와 같이 역할을 추가.


이름지정 


추가 


서버2와 서버3을 추가함. 


작업할 구성원 선택. 여기서는 서버2로 작업을 하였다. 그래서 서버2로 설정. 


복제할 폴더. 서버2에서 작업할 폴더를 복제하는 디렉토리를 설정.


이제는 복사받아야할 곳을 설정하는 거다. 여기서는 서버3가 서버2의 웹 작업을 복사받으므로

서버3를 설정. 


사용을 설정하고 복사받을 폴더를 설정. 


확인 - 다음에 그림에는 없지만 설치가 성공적으로 되었다는 초록색이 다 떠야 된다.


서버2에서 작업


서버3에서 복제된 모습. 시간이 몇분 걸리니 인내심을 갖자!!


실행된 모습 


posted by 송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