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송시혁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Tag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O가 포함된 문자열을 찾아서 그 문자열을 주석처리하기


sed 's/^.*co.*$/#&/


sed '/co/s/^/#/' 

=> 이것을 차례대로 무식하게 읽으면 

   /co가 포함하는 문자열을 /s 대체하다  /^문자열 시작을 /#으로 바꾸다.


이렇게 지정하면 한 개씩만 바뀐다. 그래서 g옵션을 사용한다.


vi editor로 파일을 열어서 변경하기. 


:g/co/s/^/#/

13개가 변경됨을 알림.


<Linux Disros>


● Unix를 본따 리누스 토발즈가 시작한 운영체제 커널

● FreeBSD,Solaris, AIX, HP-UX와 커널이 다름

● 커널: 운영체제의 핵심

● 쉘  : 사용자가 커널을 사용하기 위해 거치는 '껍데기' 프로그램

        리눅스와 유닉스는 커널은 다르지만 같은 종류의 쉘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상 크게 다른 점이 없음.


엄격히 말하면 커널이다. 운영체제가 아니라 리눅스는 커널이다.


쉘 : 껍데기. 커널을 둘러싸고 있는 프로그램.

사용자 명령어 => 쉘 => 커널.

쉘과 커널을 대화하면서 명령어 실행하고 해당 명령어에 따른 실행.

명령어가 같은 이유는 쉘이 같서이다.


/bin/sh

/bin/csh(c언어 비슷함)

/bin/bash(sh를 기반으로 더 확장한 기능)


● X server, Xwindwon

- MIT에서 개발된 유닉스 환경 ,GUI 엔진

- 최근 Wayland 로 변환기로에 있음


● X Window Manager

- 화면에 그려지는 윈도우를 공통적인 형태로 통일

- OpenBox, Flubox 등


● Desktop 환경 : Unity, Gnome Desktop, KDE Desktop 등

- 운영체제를 관리하기 위한 GUI 유틸리티의 모음세트

- LXDE, XFCE (오래된 PC에서 사용 가능함)

<배포판>


● 리눅스 : 커널만을 개발, 배포판


● 운영체제 구성을 위해 무료로 배포되는GNU 소프트웨어 이용


● 탑재하는 GNU 소프트웨어의 버전, 기본 구성

  파일트리의 형태에 대한 제약이 없어 제각각 버전이 발생함

  

● 그러한 버전들을 배포판이라 하고 기본적인 구성를 마친

  타 배포판을 기초로 또 다른 배포판들이 구성.



● 초기에는 수많은 독립적인 배포판이 있었으나

  결국 Debian  계열과 Redhat계열을 주로 사용


● Debian :  수 많은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 유지

          우분투 역시 Debian을 기본으로 하여 만든 배포판.

  

● Redhat : 유료 기술지원이 가능한 리눅스 배포판.


-------------------------------------------------------------------

         |   패키지 확장자     | 개별 패키지 설치 | 의존성 해결   |

-------------------------------------------------------------------

● Debian |     .deb            |      dpkg        |    apt-get    |

-------------------------------------------------------------------

● Redhat |     .rpm            |      rpm         |    yum        |

-------------------------------------------------------------------



<우분투>


● 데비안을 바탕으로 한 GUI 환경을 가진 리눅스 배포판

● 성능 보다는 사용자 편의성에 중점

● Unity 환경은 윈도우즈 만큼 많은 리소스를 사용가능한


<우분투를 기초로 한 배포판들이>

● 우분투 GUI 환경보다 적은 리소스 사용이 주 목적

● Unity 대신 LXDE, Xface Desktop 환경

● Lubuntu, Xunbuntu



우분투


● LTS: Long Term Support

● EOL : End of Life

● 서포트(업데이트 패치 배포 등)를 오랜 기간동안 하겠다는 약속

● 기간이 끝나면 업데이트 패치 등 중단

● 차기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필요 



mount

특정 폴더위치에 또 다른 디스크를 붙이는 얹다. (올라타않는다)

/mnt, /media


umount

=> mount 해제 


Xorg.log


rc.conf 없다.

inet.d


xubunto 터미널 모습. 무언가를 설치할 때는 apt-get으로 설치한다. 같은 계열인

우분투도 마찬가지이다. 



아래는 wireshark  설치 입력


posted by 송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