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6. 9. 20:58
임베디드/임베디드 이론
CODE= TEXT
DATA=
BSS=
ARM의 경우
MEMORY= ARM 버스선이 연결되어있다. 그러나 실행코드를 들고 올때 메모리에 접근 불가
MEMORY=(CODE,BSS,..........)
그래서 AVR은 2개로 나누어져 있다.
CODE(PROGRAM MEMORY,FLASH 영역)=AVR=(DATA, BSS,STATCK), 당연히 운영체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칩에는 HEAP영역이 없다.(SRAM)
이렇게 양쪽으로 버스선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하버드 구조라고 한다.
장점= 속도가 빠르다.
동시에 접근이 가능한다.
하지만, 잘쓰이지 않는다., 그이유는 납땜을 많이 하므로 가격이 비싸다. 그래서, ARM과 같은 폰 노이만 방식의 BUS를 선호한다.
실행시 DATA또한 FLASH영역으로 올라가지만, 실질적으로 FLASH 영역은 CODE이다.
파이프라인
PDF참고
반복문, 제어문
워치독- 지키고 있다, 시한 리셋 장치
BROWN OUT DETECTER- 감지회로, CPU를 안정화, REST
BROWN OUT = 동작은 하나 완전한 동작은 하지 않는다.
원래 5V전압을 받아야 동작을 하는 어떤것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4.5V에서는 동작이 될수도 있고 안 될수도 있다. 이렇듯 애매한 경계상태를
BROWN OUT이라고 한다.
'임베디드 > 임베디드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30일 ATMEGA 데이터 메모리 (0) | 2013.06.09 |
---|---|
5월 28일 atmega2560 개요 (0) | 2013.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