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qp,ps, find, quata
<스왑 영역 생성>
1. mkswap /swap-file
2. /etc/fstab 등록
=> /swap-file swap swap defaults 0 0
<스왑 파티션 생성 >
1. fdisk /dev/sdb , mkfs -t 82(swap) /dev/sdb2 로 파일시스템 만듬
2. mkswap -c /dev/sdb2
스왑 파티션 생성
3. swapon /dev/sdb2
=> 스왑영역 활성화
4. /etc/fstab 등록 (재부팅시 적용할 때만 등록, 그거 아니면 필요 없음)
=> /dev/sdb2 swap swap defaults 0 0
● Disk quota
=> 사용자 및 그룹의 디스크 사용량고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개수(i-node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 quotacheck
=> 디스크를 사용하고 있는 파일 시스템 체크하여 quota 기록파일(aquota.user, aquota.group, quota.user, quota.group)
옵션
-a 사용자와 그룹에 대한 쿼터를 체크한다.
-m 읽기 전용 모드 등의 이유로 마운트를 하지 못할 때 사용
-f 쿼터 파일 초기 생성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강제로 인식시킬 때 사용
-u 사용자 쿼터 파일을 체크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기본 옵션)
-g 그룹 쿼터 파일을 체크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c 기존의 생성된 쿠터 관련 파일을 읽지 않고 새롭게 초기화할 때 사용한다.
● quotacheck -mf
=> quotaoff를 하지 않아도 강제로 체크
● quotacheck -mf -u -g
=> 사용자 , 그룹 쿼터 파일을 체크할 때 사용하는 옵션
● quotacheck -cf
=> 쿼터 파일을 초기화한다.
● equota
=> 쿼터 설정하는 명령어
-t Soft limit를 초과한 후부터 적용되는 시간제한(grace period)을 설정하는 옵션
-p 특정 사용자의 쿼터를 다른 사용자에게 동일한 설정으로 적용시 사용할때 옵션
● quataon/quataoff
=> 쿼터 설정을 켜고 끄는것
옵션
-u 사용자 쿼터 활성화
-g 그룹 쿼터를 활성화
-v 메시지를 자세히 출력한다.
● requata
=> 파일 시스템 단위로 쿼터 설정 정보를 출력해주는 명령이다.
옵션
-a 쿼터가 설정되어 있는 모든 정보를 출력. 이 옵션을 사용하면 디렉터리명 지정이 필요 없다.
-u 사용자 쿼터 정보
-g 그룹 쿼터 정보
● quata
=> 사용자 단위로 쿼터 설정 정보를 출력해주는 명령어
-u 사용자 쿼터 정보
-g 그룹 쿼터 정보
#quata
Disk quatas fro user posein (uid 500)
Filesystem blocks quata limit grace files quota limit grace
/dev/sda1 1204 100000 1200000 167 0 0
● setquata
=> 쿼터를 설정하는 명령으로 vi 편집기를 이용하는 대신에 직접 명령행에서 설정 가능하다.
형식
● setquota [option] block soft_limit block hard_limit i-node soft_limit i-node hard_limit 파일시스템
● setquota -t blcok_grade i-node_grade
옵션
-t 유예 기간(Grace Time)을 설정할 때 사용한다. (단위는 초)
● setquota -u 10000 11000 0 0 /home
=> 사용자의 사용량 제한 soft 10MB, hard 11MB로 제한하고, I-node에 대한 제한은 설정하지 않는다.
● setquota -t 10000 28800
=> 블록의 유예기간은 10000초 I-node는 8시간으로 설정
사용자 쿼터 설정하기
● /etc/fstab
=> usrquata 를 추가로 기입 해야 함
● mount -o remount /home
=> /home 영역을 다시 마운트
● quatacheck -mf /home
=> 쿼터 파일 생성 및 쿼터 체크
● edquota songsi
=> 사용자에 대한 쿼터 설정
● qutaon /home
=> 쿼터 시작
● repquota /home
=> 쿼터 설정 확인
그룹 쿼터 설정
● /etc/fstab
=> grpquata를 추가
● mount -o remount /home
=> /home 영역을 다시 마운트
● quatacheck -gm /home
=> 쿼터 파일 생성 및 쿼터 체크 .옵션 -gm으로 하다.
● edquota -g test
=> 그룹에 대한 쿼터 설정
나머지는 동일
● cd -
=> 이동하기 바로 직전의 디렉토리로 이동
● mkdir
옵션
-p 경로로 지정된 서브 디렉터리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함께 생성한ㄷ. (-- paretns)
-m 디렉터리 생성과 동시에 퍼미션(permisson)을 설정한다.(--mode)
-v 생성된 디렉터리를 메시지로 출력한다.(--verbose)
● mkdir -p www/pds/photo
=>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www하위의 pds하위의 photo를 생성, 만약에 www,pds에
존재하지 않으면 같이 생성한다.
● rmdir -p www/pds/photo
=>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www하위의 pds하위의 photo를 삭제, 만약에 pds에
빈 디렉터리가 되면 같이 삭제 된다. www도 빈 디렉터리면 삭제가 된다.
● ls 디렉터리에 정보, 파일들을 조회
옵션
-F 파일의 형태에 따라 관련 정보를 출력
파일이름 뒤에 '*', 디렉터리 이름 뒤에 './', symbolic Link뒤에 '@'를 붙여서 표시
-d 대상이 디렉터리인 경우에 디렉터리 안의 내용 대신에 해당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
-t 출력되는 정보가 알파벳순이 아니고 최근 수정된 파일(또는 디렉토리)부터 시간순으로 출력
-u 파일 및 디렉터리의 최종 수정된 시간대신 사용된 시간(최종접근 시간)으로 출력 된다.
-i i-Node 번호를 파일 또는 디렉터리명 앞에 출력한다.
-r 파일 및 디렉터리 정보를 알파벳 역순으로 출력한다. (--reverse)
-R 존재하는 하위 디렉터리별로 관련 내용을 재귀적으로 전부 출력한다.(--recursive)
-S 파일 크기가 큰 것부터 출력한다.
--color 파일의 종류에 따라색을 보여준다. 레드헷 계열은 --color=tty설정
이것은 표준 출력에서만 색을 사용하도록 지정
-h 보통 -i 옵셕놔 같이 사용되면, 보기 쉽게 단위(k,ga)를 표시 (--human -readable)
-Z SElnux 관련된 보안문맥(security context)을 출력한다.
● cp 복사 명령어
옵션
-s 복사하는 대신에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를 만든다.
-p 소유권, 그룹, 허가권 등 모든 정보를 복사한다.
-d 심볼릭 링크 파일을 복사할 경우 그 원본 파일을 찾아 복사하지만, 이 옵션을 쓰면
원본과 심볼릭 모두 복사
-a 모든 것을 복사, -dpR과 동일. 심볼릭 링크까지 복사가능하고 모든 정보와 하위 디렉터리 모두 복사
-l 복사대신에 하드링크 파일 만든다.
-u 복사되는 대상이 최신의 파일이라면 복사되지 않는다. (--update)
● rm 삭제 명령어
옵션
-i 삭제시 질의 모드 .
-- 파일이름이 -가 붙어있는 파일을 삭제
● 타임스탬프
=> 리눅스에서 파일에 대한 시간 관련 정보를 타임스탬프라 부른다.
● Access Time
=> 파일의 내용을 읽었을 때 바뀌는 시간.
● Modify Time
=> 파일의 내용을 수정했을 때 바뀌는 시간. ls -l명령어로 나타내는 시간
● Change Time
=> 파일의 내용을 수정했을 때 기록되는 시간으로 절대 변경 불가능한 시간
● file
=> 파일의 종류를 출력해 주는 명령으로 관련 정보는 /usr/share/magic이라는 파일을 참조한다.
옵션
-b 정보 출력할 때 파일 이름을 출력하지 않는다. (--brief)
● find
=> 파일이나 디렉터리 찾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
옵션
-name 주어진 이름의 파일나 디렉터리를 찾는다.
-perm 지정한 퍼미션 값을 갖는 파일을 찾는다.
예) -perm 755 퍼미션값인 755로 설정된 파일(디렉터리)
-perm -6000 setUid, setGid 동시에 갖는 파일(디렉터리)
-perm +6000 setUid, setGid 둘 중 하나 이상을 갖는 파일(디렉터리)
-type 지정한 파일의 유형을 찾는다.
d: 디렉터리
f: 일반 파일
l: 링크 파일
b: 블록 디바이스
c: 캐릭터 디바이스
p: 파이프 파일
s: 소켓 파일
-inum n node 번호가 n인 파일을 찾는다.
-iname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고 이름으로 찾을 때 사용한다.
-empty 파일의 크기가 0이거나 비어있는 디렉터리 찾는다.
-newer 지정한 파일보다 뒤에 수정된 파일을 찾는다(-mtime)
-cnewer 지정한 파일보다 뒤에 변화된 파일을 찾는다.(-ctime)
-ctime change time 기준으로 찾는다.
-mtime modify time 기준으로 찾는다.
-atime n일(24시간) 이전에 접근한 파일을 찾는다. +n은 n일 이전에 액세스한 파일을 찾는다는
의미미고, -n은 n일 내에 액세스한 파일을 찾는다는 뜻이다.
● find / -type -f -perm +6000 -ls
=> 루트 디렉터리로부터 파일이며, 퍼미션이 4000 또는 2000인것을 찾는다.
● find / -nouser -o -nogroup
=> -o는 또는의 의미 소유자나 소유그룹이 없는 것을 검색
● find . -name '*.txt' -type -f -exec rm {} \;
=> .txt로 끝나는 파일을 검색하고 삭제를 실행한다.
● find / -ctime -2 + -ctime 1 ls
=> 이틀 전에서 하루 이후에 수정된 파일을 찾고 ls로 출력한다.
cat
-b 텍스트 파일 출력할 때 행 번호를 붙여 준다. (공백만 있는 줄 제외)
-n 텍스트 파일 출력할 때 행 번호를 붙여 준다. (공백만 있는 줄 포함)
-E 각 라인의 맨 끝에 $표시(개행 문자)를 붙여출력
-T 탭 문자를 ^|로 표시하여 출력
-v 인쇄가 불가능한 문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A -vET 옵션을 통합한 옵션
-s 인접한 여러 공백 줄을 하나의 공백 줄로 출력한다.
● ps
=> 동작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출력 해준다.
옵션
a 터미널과 연관된 프로세스를 출력하는 옵션
u 프로세스의 소유자를 기준으로 출력한다.
x 데몬 프로세스처럼 터미널에 종속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l 프로세스 정보를 길게 보여주는 옵션으로 우선순위와 관련되 PRI와 NI값을 출력
f 프로세스간의 상속관계를 트리 구조로 보여준다.
p 특정 PID를 지정할 때 상용(BSD 계열)
-e 모든 프로세스 출력
-a 세션 리더(일반적으로 로그인 쉘)을 제외하고 터미널에 종속되지 않은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f 유닉스 스타일로 출력해 주는 옵션으로 UID, PID, PPID 등이 함께 표시된다.
-C 지정한 프로세스만 보여준다.
-o 값 = 출력 포맷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값으로는 pid,tty, time,cmd 등을 지정할 수 있다.
-p 특정 PID를 지정할 때 사용 (Sysem V 계열)
-u 특정 사용자의프로세스 정보를 확인시 사용. 현재 사용자 기준
STAT
R(running) 실행, 실행 될수 있는 상태
S(Sleeping) 인터럽트에 의한 sleep상태로 특정 이벤트가 끝나기를 기다리는 상태
D(Disk wait) 디스크 I/O에 의해 대기 상태,
X 죽어있는 상태
L 메모리 안에서 페이지가 잠금된 상태(보통 real-time과 일반적 I/O에 의해 발생)
l 멀티 쓰레드 상태
+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 그룹
< 인위적으로 우선순위 높아진상태(사용자 설정에 의한것이 아님)
● pstree
=> 프로세스 상태를 트리(Tree)로 출력해 주는 명령이다. 가장 왼쪽이 부모 프로세스이고,
오른쪽이 자식 프로세스에 해당한다.
옵션
-a 각 프로세스의 명령행 인자까지 보여준다.
-h 현재 프로세스와 그것의 조상 프로세스를 하이라이트로 강조해서 보여준다.
-n 프로세스 이름 대신에 PID값으로 정렬해서 보연준다.
-p PID 값을 같이 보여준다.
● top
=> 동작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실시간 화면에 출력해 주는 명령으로 프로세스의 상태뿐만
아니라 CPU, 메모리, 부하 상태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옵션
-d 갱신 시간을 설정한다.(초 단위)
-p 특정 PID 값을 갖는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할 때 사용한다.
top 항목
PR 우선순위 값
NI 우선순위 nice vlaue (-20 ~ 19) 작을 수록 우선순위 높으 ㅁ
VIRT 가상 메모리의 총 사용량
RES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실제 메모리양(Resident size(kb))
SHR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공유 메모리의 양
S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낸다
● kill -HUP 1010
=> 1010 PID의 프로세스를 재시작 한다.
※ NI는 사용자는 증가만 가능하고 root만 감소시키는게 가능.
● renice
=>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프로세스ID PID, 사용자 이름, 프로세스의
그룹 ID를 이용한다.
● nohup
=> 사용자가 로그아웃하거나 터미널 창이 닫혀도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대체
● pgrep
=> 프로세스를 이름 기반으로 검색하는 명령으로 PID 값을 출력한다.
● pkill
=> 프로세스명을 사용해서 특정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보내는 명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