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3일 bgp, ACL(access control list) 실습
BGP : 대규모 네트워크에 사용하기 위해 만든 프로토콜의
(국가와 국간에 사용 )
: 우리나라는 ISP업체들이
BGP AS #를 하나씩 기지고있다.
SK 1000 번대, KT 9000 번대, LG 7000번대
BGP AS #가 같은애들은
-> internal BGP
BGP AS #가 다른애들은
-> external BGP(국가와 국가간은 AS number가 다르므로 )
# BGP 보통 넘어오는 routing table갯수
3만개 ~ 5만개
-> 쌍용정보통신(cisco골파, KT 구로, 혜화)
* show ip route -> 함부로 치면 안됟다.(50000개가 넘는 프로토콜이다 !!!!!!!)
-> neighbor를 맺는다.
TCP packet을 쓴다.
TCP port# 179
-> negithbor를 맺을 때 상대방 IP를 지정을 한다.
-> unicast routing이 올라가 있어야 한다.
-> Next-hop을 알지 못하면
BGP 를 맺지 않는다.
BGP가 ㅏ정상적으로 맺어진것을 확인
show ip bgp neighbor
neighbor상태가 establish
-> negithbor x.x.x.x remote-as #
네이버를 맺는다.
-> network x.x.x.x mask x.x.x.x
자신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를
입력한다. (loopback)
아래 그림은 설정된 루프백으로 neighbor를 맺는 것.
<ACL 실습하기>
ACL(Access-Control List)
: 특정 패킷을 차단/허용 기술
: 굉장히 많이 쓰는 기술
(네트워크 관리 및 보안)
: standard(#1-99)
extended(#100-199)
: 기준을 보는것
1) standard
-> 패킷의 구별 기준이 source IP 만 보고 판단
-> 특정 host만 차단을 할 때
특정 IP만 차단을 할 때
2)extended
-> 패킷의 구별 기준
source IP, dest IP
protocol
TCP/UDP port# 도 구별 가능
-> 특정 서비스만 차단을 할 때
기술팀 192.168.1.0
총무팀 192.168.2.0
총무팀 서벅가 192.168.2.100
기술팀 서벅가 192.168.1.100
source 192.168.1.0 dest 192.168.1.100 허용
source 192.168.2.0 dest 192.168.2.100 차단
ACL을 설정시 유의할 점
1) 순서대로 해야된다. 가장 중요!!!!!!!!!!!!!!!!!!!!!!!!!!!!!!
source 192.168.1.0 허용
source 192.168.1.0 차단
위의 설정을 하더라도 스탠다드는 무조건 허용한다.
그 이유는 source IP가 허용을 먼저 설정하였기 때문에
차단은 먹히지 않는다.
2) 방화벽
3) access-list 10 permit any
4) access-list의 기본동작은 (default) deny
5) access-list 1 permit 192.168.1.0 0.0.0.255
=> 192.168.1.0의 대역을 통과를 허락하고 나머지 대역은 전부 차단
permit any (마지막에 넣는다.)
차단할 대역대를 다 입력하고
마지막에 permit any를 넣는다.
설정한 ACL을 포트에 적용해야 한다. ip access-group 1 out은 해당 라우터에서 전송하는 ip를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in과 out은 설정하는 라우터가 기준이다. 위그림에서 192.168.1.0/24를 deny 라고 Access control list를 지정하였기 때문에
router기준 192.168.1.0대에 ip를 전송하지 않음.
아래 그림은 access list 를 보여준다.
위 그림과는 달리 access-list 1 permit any 를 추가였다.
ACL은 받드시 순서가 중요하다!!!
나름 설명하자면, 192.168.1.0 대에 ip를 거부하고 나머지느 허용한다는 의미이다.
access-list 1 permit any 추가 시키지 않으면 모두 deny 함으로 반드시 추가해야 한다.
아래는 extended ACL을 설정하는 것. standard 와는 달리 source ip/subnet, dest IP/subent까지 입력해야 한다.
아래는 standard 와 extended의 번호를 나타냄.
<실습 - 웹서버 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