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6일 동적 라우터 간단한 이론, L3스위치, 재분배 복습
dynamic routing protocol(동적)
- RIP/OSPF/EIGRP L3 스위치
- RIP
1) Algorithm : Distance Vector
(Distance = hop)
(hop = 지나가는 라우터 갯수)
2) hop count max -> 15
(사이에 15개의 라우터까지는 가능)
3) neighbor를 맺지 않는다.
4) 30초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테이블을 광고 한다.
5) 변화에 신속하게 반응하지 못한다.
6) 작은 네트워크 망에 적합하다.
7) 장점: 모든 장비의 호환성
설정이 쉽다.
EIGRP
1) Cisco가 개발 ( Cisco 전용 프로토콜)
2) AS number를 쓴다. (같은 그룹을 만든다.)
3) neighbor를 맺는다.
4) hello (224.0.0.10) multicast
(interval 5s)
(dead inteval 15s)
Update
query
reply
Ack
5) 장점 : 변화에 대해서 반응이 빠르다.
중규모의 네트워크 망 구성에 적합하다.(router 255대 정도)
6) 단점 : Cisco 장비밖에 쓸 수 없다.
OSPF
1) Open Shorttest Path First
2) SPF라는 수학적 알고리즘 -> 네트워크에 접목 시킨것
3) 최적 경로(best path)를 계산하는
알고리즘
1) SPF
2) Link-State
5) 224.0.0.5/224.0.0.6의 broadcast를 사용한다. (Hello)
6) neighbor를 맺는다.
7) Area를 사용한다.
(area0는 백본 area)
7-1) Area마다 DR(반장)/BDR(부반장)
Drother(학생)을 선출 하여
LSA(Link-state 정보를 자지고 있는 패킷)
8) 장점 : 호환성 (어떤 네트워크 망에도 가능)
중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9) 단점 : 리소르를 가장 많이 잡아먹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L3 스위치 실습>
L3 스위치는 반드시 routing을 하기 위해서는 ip routing이라고 입력한다.
L3 switch에서 vlan안에서 DHCP relay를 설정하였다. 이 부분은 라우터와 동일
L3 switch에서의 트렁크 설정이다. switchport mode access를 하기 전에 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를 설정하여야 원하는 포트를 trunk포트로 설정이 가능하다.
RIP 프로토콜을 EIGRP프로토콜에서 재분배 설정이다. OSPF와 똑같다. EIGRP를 제외하고는 복잡한 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