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2일 tcp/ip 기초 이론
shell = 리눅스 환경에서 (window의 dos창과 같은 존재)검은 창.
window를 생각해본다면, 익스플러러, 탐색기와 같은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것.
그러나 그밖에 아이콘 , 오락, 휴지통, 기타....등은 전부 어플리케인션 개념이다.
shlell은 껍데기라는 뜻으로 kernel의 외부에 둘러쌓여 있는 껍데기라는 의미로 "shell"을 사용하였다.
메모리 관리 프로그램
펌웨어(임베디드)=드라이버(usb, 키보드, 마우스,모니터,....)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는 드라이버가 설치가 필요한 것들이지만, 기본적으로 윈도우에서는 드라이버가 설치가 되어있다.
탐색기->(접근)->kernel(os)
이와 같이 운영체제에 접근을 하기 위해서는 무언가가 필요한다. (접근)
접근을 하기 위한 무언가를 함수를 거친다. C언어에서 read, printf......등이 해당된다.
이것을 C API라고 부른다. (라이브러리)
A =app
P=program
I=interface
의 약자이다.
터미널
shell programing
Batch = 도스에서 확장자. BAT
스크립트 언어(소스가 다 보인다.)/=반대가 binary 파일
=컴파일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행될때, 소스가 해석된다.(makefile)
just in type
여기까지가 리눅스에 관한 기초이론이다.
다음은 본격적으로 tcp/ip의 개념을 살펴본다.
역사
unix - 미국방성- bell(회사)에서 개발
pc와 pc를 연결한 것을 hub라고 한다. -내부일 경우
외부의 pc hub망과 연결하기 위한 문을 gateway라고 부른다. 그 gateway를 거쳐 다른 lan망과 연결한 것을
wan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러한 wan을 한데 연결하고 서로가 연결이 되어 거미줄처럼 엮여져있다하여
internetwork라고 부르며, 줄여서 internet이라고 한다.
ip= internet protocel
ip= internet protocel adress
head(package) |
data |
층 layer3/layer2/layer1를 data앞에 패키지의 적층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