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2일 리눅스 기본1
vmware workstation을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원래는 실행하고 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여기서 alt + ctrl + F1~6중에서 아무거나 눌러보자.
필자는 F1, F2를 눌렀다.
아래 그림은 F1(아래그림은 이미 소스를 작성하고 저장한 상태에서 불러온 그림.
F2를 누른다. F2에서 다시 F1으로 가고 싶으면, 그냥, alt + F1을 누르면된다.
그러나, 주의 할것은 F1~F6에서 F7로 이동할 때는 단순히 alt + F7을 누르면되지만,
하늘색 이미지의 F7상태에서는 반드시 ctrl키와 같이 눌러야 이동이 된다.
( alt + ctrl + F7)
저위의 초록색 버튼을 누르면, 다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login에 root라고 입력한다.
passwd는 1이다. 그러나 키보드를 눌러도 숫자도 보이지 않고 커서도 움직이지 않는다.
c언어의 getch()라고 생각하면된다. (필자는 굉장히 당황하였다.ㅜㅜ)
최초 화면에서 ls -al 이라고 입력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복잡해 보이닌 자신이 윈도우에 만든 프로그램만 나타내기
위해서는 숨겨진 파일이 나타나지 않는 리스트를 보면 된다. 그것의 명령어는 아래그림에서 보이는 바로 ls -l이다.
위와 같이 뜰것이다. lan은 필자가 이미 만들어 놓은 것. 이것을 만드는 방법은 바로아래 설명한다.
ln -s /mnt/hgfs/One/ lan이라고 치면된다. lan은 그냥 사용자가 아무이름이나 쓰면된다. 제일 앞에는 소문자 'ㅣ'이다.
대문자 'I'와 헷갈려선 아니 아니 아니되요~~~
pwd를 치면, 자신의 현재 위치 디렉토리를 알수 있다.
원래는 자동적으로 lan디렉토리에 설정이 되나, 필자는 수업이 끝나고 한번 프로그램을 끈상태에서 실행하였기 때문에
직접 하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하위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cd \디렉토리명" 이렇게 치면된다. 그래서 lan의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위해서 cd \lan이라고 쳤다.
그러면 lan디렉토리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 그렇다면 자신이 위치한 디렉토리에 폴더를 생성해보자. 다음과 그림과 같이 입력하면,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mkdir을 친 후, 만들고 싶은 폴더명을 써주면, 폴더가 만들어진다. 아래그림은 탐색기를 열어 확인한 모습이다.
다음은 소스 작성법이다. 해당하는 디렉토리에서 소스를 작성하고 싶다면, 일단, 소스의 파일부터 생성해야한다.
vi main1.c를 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는 동시에 해당 디렉토리에서 main1.c라는 파일이 생성이 된다.
그리고 원하는 소스를 작성한다.
작성하고 난뒤 ':'를 눌러서, 확장모드로 만든다음 wq를 눌러서 저장한다.
그리고 컴파일을 하는데 gcc -main1.c -o main1이라고 누르면, 컴파일이 된다.
그 상태에서 main1이락 치면 소스의 관한 결과값이 나온다.
아래 그림은 수업시간에 만든 main.c 파일을 컴파일한 모습이다.
그리고 종료시에는 반드시 wq나 q!(저장하지 않고 종료)를 확장모드에서 입력을 한 다음에
위에 일시정지 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가장 초기화면이 될때까지 기다린다.(인내심..)
그리고 메뉴에서 flie- exit를 누르고 종료하면된다.
참고로 한/영키를 변환하기 위해서는 space bar+ shift키를 누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