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30일 ATMEGA 데이터 메모리
32개의 REGISTER 단순한 기억 장소(GENERAL PURPOSE MEMORY)
0~31 = 0X0000 0000~0X001F
EXTIENDE I/O 레지스터= 확장된 입출력 레지스터
흰색- 호환, 같은 계열의 다른 칩 종류는 똑같이 동작.
ADRESS
0X3F(기본동작)/0X5F확장모드
EEP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2PROM)
EEPROM은 전기적으로만 지울 수 있는 PROM으로 칩의 한 핀에 전기적 신호를 가해줌으로써 내부 데이터가 지워지게 되어 있는 롬이다. 하나의 롬 라이터를 사용해서 쓰고 지울 수 있다. 그러나 EEPROM은 전기를 노출시킴으로써 한 번에 1 바이트씩만 지울 수 있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와 비교하면 매우 느리며 다시 기록 횟수에 제한이 있는데 약 10만 번 정도까지만 다시 기록할 수 있다.
EEPROM은 인터페이스에 따라 직렬 버스와 병렬 버스로 나뉜다.
- 직렬 버스
- 병렬 버스
- 보통 8비트 데이터 버스로 칩 셀렉트와 쓰기 방지 핀을 가지고 있다.
- 단순하고 빠르게 작동되지만 크기가 크고 핀 수(32개 이상)가 많다.
EEPROM은 모뎀이나 비디오 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 등에서 사용된다. 모뎀의 경우에는 내부에 사용자가 AT명령을 통해서 설정한 상태가 전원을 껐다 켠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는데. 이것은 EEPROM에서 그 상태를 저장해 놓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비디오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 등에서 EEPROM을 사용해 점퍼없이 설정상태를 저장한다.
SRAM 전원이 없어도, 데이터가 없어도 손실이 되지 않는다.
EEAR= LCD기법과 유사
주소를 지정하고 데이터를 쓰는 방식.
FLASH 단점= 1BYTE씩 전송을 하지 못한다.(8bit를 한 꺼번에 보내지 못한다.)
mosi
master out slave in(Rx)
miso
master in slave out(Tx)
sck 클럭신호, 속도가 빠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