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9일 프레임 구조와 vlan 응용실습
------------------------------------------------------------------------------
출처 - http://ryusstory.tistory.com/entry/Ethernet-Frame-IEEE8023
프레임 구조
preamble - 송수신간에 동기화. (8byte)
=> 받는장비와 주는 장비의 동기화를 시켜주는 필드, 패킷을 캡쳐할시는 보이지 않음.
destinaton - (6byte)
source - (6byte)
type - 프레임의 타입. ipv4 = 0800. ipv6 = 06dd (2byte)
data - 데이터 (46~1500byte)
FCS - 오류검출. 원래 값이랑 다르면 오류로 판정하고 폐기. (4byte)
데이터 전송간 오류 발생여부를 체크.
802.3 프레임 헤더 - 각 표준마다 헤더의 내용이 다르거나 추가 됨.
1byte SFD가 preamble뒤에 붙은 형태.
junbo(전보) 프레임 1518보다 큰 프레임.
- 고속이 필요할 때 사용
전체 토폴로지
위 토폴로지는 L3장비(L3 switch 포함)없이 L2만으로 통신이 되겠끔하는 것이다. 각 스위치에 PC마다 vlan을 다르게 설정함.
vlan 10 = PC1, 4, 7
vlan 20 = PC2, 5, 8
vlan 30 = PC3, 6, 9
가운데 정중앙 스위치를 각각의 포트를 트렁크로 설정하여 같은 vlan을 가진 PC끼리는 통신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다른 vlan을 가진 PC끼리는 통신이 안되는 상황이다. 해결책은 원래 2가지이다.
1. L3 스위치나 라우터를 사용함.
2. vlan을 나누지 않는다.
그러나 위 2가지 방법이외에 한가지가 더 있다. 좋은 방법은 아니지만, 스위치 vlan에 개념을 응용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실습을 진행하였다.
1. 먼저 정중앙 스위치에 스위치 2개를 더 둔다.
2. 추가한 2개의 스위치중에 하나를 정중앙 스위치를 trunk로 연결.
3. 그리고 나머지 위에 스위치와는 3개의 포트를 연결한다.
4. 정중앙 위에 스위치 바로 위에 스위치는 vlan 10, 20, 30을 각각 access port로 설정함.(명령어는 생략)
따라서, 정중앙 스위치에서 tag를 달린 패킷을 전송하면, 바로 위 스위치는 access포트로 설정되어 untag가 된다.
바로 위 스위치는 제일 위에 있는 스위치에게 전송하다가 다시 받아서 정중앙 스위치에게 untag.
제일 위에 스위치를 두는 이유는 access 포트가 무언가에게 전송함으로서 untag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일 뿐이다.
당장에 들어오는 메시지는 tag붙어있음으로 vlan 포트에 맞게 들어온다. 그러나 access를 거치면서 untag 되게 되는 것이다.
access -> untag (위 그림에 빨간색 동그라미)
trunk -> tag (위 그림에 파란색 동그라미)
자신의 인터페이스 포트가 보이 않을때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