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virual_box_freeBSD실습

5월 25일 freeBSD, 계정생성, 프롬프트 설정 실습

송시혁 2018. 5. 25. 13:41

ps -a 현재 프로세스 모두를 보여줌


whoami - 지금 나의 계정만 보여줌.



du - disk usage, 현위치 또는 지정된 위치의 디스크 사용량


df - disk f, ,파티션 별 디스크 사용량


/usr/ports


make fetch extract




사용자 관리

addusr = 일반 사용자 계정.


pw useradd(user_name_\) -make

pw useradd user2 -m



pw usermod(user_name) -G(group_name)


freeBSD에서는 sudo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udo를 설치해햐 한다. 


pkg update


pkg install sudo

= sudo를 설치.


계정이 wheel 그룹에 속해 있게 한다. sudo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less etc/group을 실행한다. 아래에 user2계정이 추가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visudo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타난다. 아래에 주석을 풀어준다. 

# %wheel ALL -> %wheel ALL 



vi .shrc = 변경하는 이유는 프롬프트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디렉토리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으니 사용자가 보기 좋게 패턴을 변경하는 것이다.



















rc.conf에 고정 ip를 추가한다.



ip를 설정한다.


*** etc/resolv.conf ***


- DNS 서버 주소 설정

- 일반적으로 두 개를 설정. 




*** etc/rc.conf ***


현재 시스템의 설정


- hostname

- ifconfig

- defaultrouter = gate way 주소


= 설정한 rc.conf를 적용시키기 위해서, 유닉스에서는 이 명령어로

  start 한다.



계정이 telnet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해 보자


inetd = 수퍼데몬


자주사용하지 않은 서버는 돌지 않는다.

대기하다가 자기가 가지고 있는 리스트가 존재.

리스트에 해당하는 서비스가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를 구동켜준다.


/etc/inetd.conf, /etc/rc.conf를 설정해줘야 한다. 



아래 그림처럼 주석을 푼다. 




마찬가지로 rc.conf파일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설정할 파일들을 적용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친다. 




sockstat -4


*는 어떤 네트워크가 접속해도 받겠다는 뜻


sockstat -4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뜬다.


저장된 log가 있는 곳이다.

읽기전용으로 인증.로그를 띄워보자



/etc/issue 파일을 설정하면 된다.


log out시 로그 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