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3일 winserver 실습
간단한 이론
Window server
BSD 버클리 대학 계열의 UNIX
Linux 리눅스 (커널 + 보조프로그램, 유틸리티)배포판 CentOS Fedora Ubuntu
솔라리스 오라클 HP-UX
========================================================================================
리눅스 재부팅 = init 6 = reboot = shutdown -r now
리눅스 종료 = init 0 = halt = poweroff = shutdown -s now
========================================================================================
윈도우 재부팅 = shutdown -r = 기본값(60초)후에 재부팅
shutdiown -r -t 0 =0초 후에 재부팅 = 지금 당장 재부팅.
윈도우 종료 = shutdonw -s = 기본값(60초)후에 종료
shutdiown -s -t 0 = 0초 후에 종료 = 지금 당장 종료
shutdiown -s -t 0 = 0초 후에 종료 = 지금 당장 종료
========================================================================================
sysdm.cpl 시스템 속성
whoami 내가 누구냐? = 무슨 컴퓨터에 무슨 계정으로 로그인 했냐?
whoami /user SID = 보안 식별자 = 정품 인증 기준이 된다
hostname 내 컴퓨터 이름이 모냐?
net user 내 컴퓨터의 모든 계정 나열
net user administrator administratior의 정보 열람
logoff 로그오프
========================================================================================
UNC(Universal Naming Convention) - 2000년 이전 쓰는 방식(현재도 널리 사용 됨)
컴퓨터 이름 \ 사용자 이름
2012a10x/administrator
UPN(User Pricipal Name) - 2000년 이후 쓰는 방식
사용자 이름 @ 컴퓨터 이름
administrator@naver.com
Windows Sever 의 세가지 유형(중요)
1) 독립실행형 서버(Stand Alone Server): 서버를 설치한 직후의 상태
워크그룹(P2P : Peer To Peer)각자가 제각각 관리를 하며, 대신해 줄 수 없다.
역할에 따라 주고 받을 수 있다. 유동적인 역할
특정 시스템이 관리를 하지 않는다.
<예1> 잠시 자리를 비울 목적으로 로그오프(잠금)하지 않고 자리를 비웠을 때
누군가 데이터를 훼손했다면 누가 책임을 져야 하나?
자료를 잃어버린 해당 컴퓨터의 사용자
워크그룹 = 독립 샐행형 서버로만 구성된 네트워크
(장점) 구축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다.
(단점) 소규모일 때만 가능, 공유 설정은 가각의 서버마다 설정.
<실습>
1. Srv3 컴퓨터 관리 -> 로컬사용자 -> 홍길도 사용자 계정 생성
2. Srv2 [doc폴더] 싱성 후 공유 설정.
3. Srv3 홍길도 계정르로 로그온한 후 srv2의 공유폴더에 엑세스
사용자 전환 = 이전 사용자가 사용하던 설정은 저장된다.(단점 메모리 낭비)
실습
sysdm.cpl 시스템 속성
whoami 내가 누구냐? = 무슨 컴퓨터에 무슨 계정으로 로그인 했냐?
whoami /user SID = 보안 식별자 = 정품 인증 기준이 된다
hostname 내 컴퓨터 이름이 모냐?
net user 내 컴퓨터의 모든 계정 나열
net user administrator administratior의 정보 열람
logoff 로그오프
윈도우에서 계정생성하고 공유하기.
1. Srv3 컴퓨터 관리 -> 로컬사용자 -> 홍길도 사용자 계정 생성
계정추가로 생성하는 모습이다. 이미 "hong"라는 계정이 생성이 되었다.
패스워드 설정. 대문자, 소문자, 번호, 특수, 최소길이 8자리를 충족해야 된다.
계정이 생성 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
sam이라는 파일이 계정의 정보를 관리 하는 파일이다. 디렉토리는 무조건 c:\Windows\System32\config 디렉토리로 고정이다.
정보보안기사난 각종 시험이 어려운 이유가 이런 디렉토리까지 암기해야 한다는 점이다.
시작 버튼 누르면 hong이라는 계정으로 되어있다. 사용자 전환으로 hong이라는 계정으로 로그인 하면 아래 그림처럼 된다.
2. Srv2 [doc폴더] 싱성 후 공유 설정.
일단 c드라이브나 아무데나 doc라는 폴더를 만들고공유 해보자.
doc는 그냥 폴더 이름일뿐 다른걸로 해도 상관 없다.
고급 공유를 클릭.
공유이름을 지정한다. 공유이름과 폴더명이 같다고 해서 같은게 아니다. 엄연히 다른거다. 편의상 같은이름으로 지정.
doc파일이 공유 목록에 추가 되었다.
아래 빨간줄을 확인하자.
3. Srv3 홍길도 계정르로 로그온한 후 srv2의 공유폴더에 엑세스
다른 서버에서 실행하자. 그러나 접속되지 않는다. 그 이유와 엑세스 방법은 다음에 포스팅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