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virual_box_freeBSD실습

5월 18일 freeBSD 설치 및 실습

송시혁 2018. 5. 18. 18:32

FreeBSD설치 절차.



virtual machine에서 file- 새로만들기를 실행한다. 아래와 같은 그림이 뜬다.


"FreeBSD"를 사용할것이므로 아래 그림처럼 설정.


가상머신에 메모리이다. 그리 크게 잡지 않아도 된다. 아래 그림에는 1024로 되어있지만, 필자는 512로 잡았다.


VHD로 설정.




동적할당. 


하드디스크 크기 설정이다. 그리 큰 용량이 필요없으며, TEST를 위주로 하기 때문에

5GB로잡았다. 이것은 자유이다. 





설치가 되면 우클릭을 하여 설정에 들어간다. 비어있음을 반드시 클릭하자.




빨간색 밑줄그은 부분에 CD아이콘을 클릭하여 FreeBSD이미지 파일을 불러오면 커서(파란색)처러 된다. 이미지 CD-ROM이 삽입된 것이다.



시작 버튼을 누르면 되지만, 혹시나 실행이 안되는 경우 시작버튼 옆에 화살표를 눌러 "떼 낼 수 있도록 시작"을 클릭하자.



네트워크 카드다. 설정이 자동으로 잡혀있다.



gpt설정. MBR은 오래된 파티션 윈7까지는 이걸 사용하였으나, 현재 추세는 GPT설정.




하드웨어 파티션이라고 보면 된다. swap => 가상메모리 물리적 메모리 대체 하기 위한 메모리



dns 설정이다. 일단 ok한다.



보안 관련된 설정이다. 일단, 첫번째 목록은 내가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을 숨기는것. 

이것은 아직 지금 단계에 배우지 않아서 패싱.


설치가 다끝나면 재부팅 되면서 이화면이 뜬다. iso 파일 아직 존재하기 때문이다.

shell을 누르고 검은 리눅스 화면이 생성된다. 그러면 shutdown을 시킨다.(shutdown -p now, 아래 그림은 생략됨)

나머지도 있으나, 미쳐 캡쳐하지는 못하였다.










가상머신과 실제 윈도우상에 마우스가 불편함이 있다. vitrualbox를 클릭하면 그 안에서 마우스가 실행되고, 윈도우로 마우스로 클릭못한다. 보통은 left ctrl키인데 그게 안 먹힐때도 많다. 따라서 직접 설정한다. 설정 법은 아래와 같다. 



아래와 같이 입력- 호스트 키조합에 단축키 란에 클릭하여 옆에 지우개 버튼으로 지운후 빨간줄 처럼 써주자. 

꼭 Shift + Ctrl이 아니어도 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root계정으로 로그인 하자. 필자는 알고 있으므로 생략.


nmap을 설치해보자. FeeBSD에서의 nmap은 /usr/ports/nmap이다. 

여기서 make fetch extract 을 입력하여 설치. nmap 디렉토리안에 Makefile이 있는데 그렇게 설정이 되어 있다.

아래는 설치가 되고 있는 장면. 아무것도 없기에 운영체제에서 라이브러리 소스도 받고 컴파일도 자동적으로 된다.



완료되면 아래처럼 폴더가 생성된다. 





이번에는 echo 명령어. 기본적으로 echo명령어는 만약에 "echo abc" 를 압력하면 "abc"를 반환. 에코는 뭔가를 반환한다.


ehco 명령어를 담당하는 sourec code 디렉토리는 /usr/src/bin/echo이다. 




which ls

- 어느 ls인지 물어보는 명령어. 여기서는 usr/bin에 위치.


env - 환경 변수

env를 치면 아래와 같은 파일이 열어진다. PATH를 주목. 윈도우로 따지면 환경 변수에 있는 PATH이다. 빠져나와서

echo PATH를 치면 env내에 있던 PATH가 출력됨을 알 수있다. 




whoami = 나의 계정이름을 모를 때 쓰는 명령어.

who      = 현재 접속자에 계정정보가 나옴.

w          = 현재 접속자에 로그인 정보가 나옴. 





파일 만드는 법이다. 통상적으로 mkdir을 많이 사용하지만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


아래 그림을 참조. 


echo명령어를 응용할수도 있다. echo line1 > file2를 보면 echo는 line1을 반환하면서 file2에 리다이렉션(>, 여기서는 file2fh 보낸다라고 생각하자)한다. 그러면 file2에는 line1이라고 내용이 적혀져있다.




file2 실행결과

여기서 less 명령어는 읽기 전용으로 파일을 열 때 사용하는 명령어.



ls -l명령어를 리다이렉션을 하면 ls -l이 수행하는 출력내용을 file3에 write된다. 



cat 명령어

cat은 연립하다. concation의 약자이다. 

cat > file6 <<@@@@로 입력한다.


처음에 ?가 뜨면서 파일에 쓸 내용을 입력이 가능하다. 아래 그림에서 line100,101, 102를 write를 하고 <<@@@에서 설정

@@@입력하면 종료된다.  file6에는 line100,101,102의 내용이 들어가 있다. 



mv와 cp 명령어 응용

위 그림처럼 mv file3_copy file_moved라고 입력하면 file3_copy가 file_moved라고 바뀐다. 윈도우에서 처럼 rename기능이 없어서

이렇게 한다. 보통 mv는 디렉토리가 다르면 이동한다.




uname

- 어떤 OS인지 알려준다. 


아래 그림은 uname -a




df    = 파티션

df -h = 현재 파티션을 보는데 사람이 알아볼수 있게 한다.



좀 더 응용해서 du -h /usr/ports라고치면 /usr/ports내에 파일들의 용량을 합쳐서 계산해 준다. 


sort는 정렬하다는 명령어. 단어 자체가 정렬이다. 




아래그림은 passwd파일이다. 




nano 편집기



pkg update = 패키지를 다운.

pkg search nano

pkg install nano

를 해야 nano편집기를 사용 가능하다. 





etc/motd = 로그인시 나오는 문구 파일들만

motd는 로그인시 나오는 로그 화면에 출력해주는 파일이다. 이것도 사용자가 수정가능하다.




dmesg

dmesg : less = 긴 파일을 




$이면 일반계정

#은   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