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L2_L3 Packet_tracker 실습

5월 17일 스위치, 라우터 ip 설정 및 telnet 접속 통신 실습

송시혁 2018. 5. 17. 19:11


전체 구성도


스위치 설정.


VLAN 1번과 Fa0/1 포트가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설정함.  ip나 기타 설정은 반드시 config mode(설정 모드)로 진입한다.

interface vlan 1입력하고 아래와 같이 ip address를 입력한다. , 반드시 서브넷을 입력한다.

 

그리고 no shutdown을 입력하여 현재 설정을 입력한다




라우터의  ip설정도 동일하다. 다만 인터페이스 포트만 잘 확인 하여야 한다. 다만, ip 설정시 게이트웨이 ip주소로 설정한다. 그 이유는 다른 대역과 통신하기 위함으로 게이트웨이 주소가 필요하다. 그리고 ip를 설정하면 반드시 no shutdown을 

해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shutdown이 되어서 통신할 수가 없게 된다. 



스위치 ip설정이 되면, ping을 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은 통신이 안된다는 것이다.

"!"가 통신이다. 아래 그림에서 "."이 나타난 이유는 mac-table에 아무것도 등록이 되어있지 않으므로 DLF현상이다. 다시 한 번 똑같은 명령을 치면 동작이 잘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제 telnet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설정을 해보자. 

switch에 vlan에 IP를 설정한 이유가 Switch를 원격 제어하기 위함이다.

스위치 0에 원격 제어를 위하여 telnet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line vty 0 4"를 입력하면 해당 switch에 대한 원격 제어 설정이 완료 된다.




ip telnet 같은 설정이 끝나면 반드시 저장을 해야 된다.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를 입력하여 현 config설정을 저장한다. 그러면 filename을 무엇으로 할것이냐고 묻지만, 시뮬레잉션이기 때문에 enter를 입력한다.

 

"wr"로 입력해도 되나, 이것은 덮어쓰는 기능으로 이전 config설정이 바뀌는 위험이 있다. 왠만하면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을 입력하도록 하다.


설정된 config를 불러오고 싶으면 전체모드에서 "reload"를 입력하면 된다. -(그림 생략)

 

 

라우터 설정도 동일함으로 생략.




아래 그림에서 "show running-config" 입력하여 현재 설정된 config를 볼 수 있다.

빨간줄에 그어진 것처럼 이 스위치에 원격 telnet이 설정 됨을 알 수 있다. 



PC0 cmd창에서 telnet 접속한 화면이다. PC0 콘솔에서 스위치 IP 192.168.1.50을 입력하여 접속.

password는 보안상의 문제로 우리가 입력해도 보이지 않으니,  위에서 설정한 "1234"를 입력한다.




아래 그림은 "end" "exit"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현재 config-if모드이나, end를 입력하면  바로 privillage 모드로 진입한다. 그러나 "exit"를 누르면 한 단계 위인 config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아래 그림처럼 PC는 같은 대역인 192.168.2.3(swtich_2)의 원격 접솝은 가능함. 그리고 PC1과 PC2의 대한 디폴트 게이트 웨이를 설정함으로 서로간에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PC2에서 switch1에 대한 telnet 접속이 안된다. 그 이유는 switch1에 게이트웨이가 설정이 안 되어 있기 때문에 PC2에서 switch1에 대한 원격 제어는 불가능하다.


아래 그림은 스위치1에 대한 디폴트 게이트웨이를 설정.




PC2에서 telnet 192.168.1.50(switch1)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상태(CMD 창)에서는 접속만 가능할 뿐, 아무런 명령어도 먹히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바로 switch에 enable password를 설정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