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7일 약간의 스위치 명령어
지난 시간 복습
IP 네트워크 대역대를 구분하는것
subnetmask에 따른 네트워크 대역대를
subnetmask
netmask
networkmask
mask
다 같은 용어임
CISCO, Junifer, Alcatel-lucent
Dell, HP(휴렛패커드), Hawaii, ZTE,
국내사
유비쿼스, 다산, HFR, 유빈스, 엔아이투스, 미리넷(망함)
1) 부산 직업전문학교 402호실에 PC가 20대가 있다. 부산적업전문학교의 사설 IP는
192.168.0.0./24이다. 다른 교실과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지 않게 서브네팅을 하고
Network Id, Broadcast IP 그리고 사용 가능한 IP들을 구하시오.
192.168.0.0/ 24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00000
20대 사용가능 PC
subnet = 255.255.255.224/27
Network IP = 192.168.0.0
Broadcast IP = 192.168.0.31
gateway = 192.168.0.30
사용가능한 ip
첫 번째 대역 사용가능한 IP = 192.168.0.1 ~ 192.168.0.30
domain - 같은 대역을 쓰는 것을 말한다.
Broadcast Domain
- 발송한 broadcast가 도달하는 범위.
Collision Domain
-
------------------------------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이름을 물어보는 역할하는 메시지.
ping (서로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메시지)
발송하는 사람 IP, 주소, source IP, address
받는 사람 IP, 주소 destination IP, address
사용자도 모름(불가능) 일일이 mac address를 알수 없음
목적지를 broadcast(FF:FF:FF:FF:FF:FF)
ex) ping 192.168.0.30
ARP가 목적지 mac 을 FF:FF:FF:FF:FF:FF로 달고, 메시지 내용을 192.168.0.30주소를
쓰는 아이의 mac을 아는사람이 있니? 라고 물어보는 메시지를 보낸다.
게이트웨이가 다른 network(대역)으로 메세지늘 보내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웨이에 ping이 가지 않으면 내부문제
그렇지 않으면 router에 문제이다.
->네트워크 대역을 장비에서 나누는법
문제점: L2만 구성하면 브로드캐스트때문에 과부하가 심하다. 따라서 L3와 같이 쓴다.
L3 라우터/스위치는 브로드캐스트하지 않는다.
->L2에 연결된 장비들은 같은 대역대의 IP를 쓴다.
같은 L3에 연결된 장비들은 인터페이스(포트)마다 다른 대역대의 IP를 쓴다.
switch 에 ip를 넣는 이유
현업에서는 ip
장애처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 스위치에 telnet을 하여 원격 제어를 위함.
즉, 관리와 운영을 하기 위함.
show running-config - 현재 설정된 config를 보여 줌.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현재 config를 저장. 이전 config를 볼 수 있다.
show vlan
스위치에 vlan가상의 공간에 ip넣는다.
gi/0은 기가 서비스 스위치.
wr - config 저장. 덮어쓰기. 예전 config를 볼 수 없다.
reload - 저장된 config를 불러온다.
ip address ip주소 subnetmask를 친다.
no shutdown - 설정을 업데이트 및 적용
interface vlan 1
ip address fastEthernet 0/1
ctr+shift+6 = 단축키 스위치나 라우터에 명령어를 잘못입력하면
그 해당 문자열을 dns인줄 알고 몇 분동안 검색하게 되어 사용자는
아무것도 못하게 된다. 이것을 바로 빠져 나오게 하는 단축키.
이 단축키가 귀찮으면 전체 모드나 priviledge 모드에서 no ip domain-lookup을 입력하면 된다.
#(config) = 이 모드에서만 설정이 가능. ip나 vlan을 설정.
특정 interface를 설정해야 함으으로 interface 00를 치면
#(config if)가 된다.
여기서 ip를 설정.
다른 대역으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디폴트 게이트웨이를 보내야 함.
명령어 정리
-> 접속
실제 장비는 ID, PASSWORD: 입력해야 한다.
Switch>enable - >(enable 모드로 전환. privilege mode)
Switch#
여기서 할 수 있는 것.
- show 조회
- show vlanshow running-conbfig
- ping
- config teminal 모드로 전환.
Switch# config t(설정 모드로 전환 - 장비에 대한 설정은 이 모드에서
대부분한다.)
Switch(config)#
interface (int 만지거나 tab 을 입력해도 된다.)
int fa 0/0
int vlan 1
Switch(config-if)#
(인터페이스로 진입을 하였을 때)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정이 가능.
switchport mode access
switchport access vlan 10)
Switch(config)#line vty 0 4
- telnet등 원격에 관한 설정을 할 수 있는 모드로 들어간다)
- 0~4는 동시에 접속가능한 사용자 수를 설정.
Switch(config-line)#password 1234
- password를 지정하여, telnet등 원격 접속이 가능하게 한다)
인터페이스 - 포트.
20.1.1.0/24 -왼쪽
PC
20.1.1.1
255.255.255.0
20.1.1.254
10.1.1.0/30 - 아래
30.1.1.0/26 - 오른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