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 수업정리/3월 수업정리

3월 18일 수업정리 디버깅부분2

송시혁 2013. 3. 18. 16:46

컴퓨터가 저장하는 값과 우리가 화면상에 입력한 값은 반대로 되어있다.

 

화면에는 12345678는 그대로 보여지지만 컴퓨터의 메모리는 반대로 숫자를 기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연산의 처리속도 때문이다. 컴퓨터는 숫자를 거꾸로 놓아서 계산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이다.

12 34 56 78 -> 78 56 34 12로 놓는다.

단, 슈퍼컴퓨터는 화면과 똑같이 출력한다. 그래야 대소비교가 쉽기 때문이다.

참고로 알아야 할것들

Build solution -  F7, 컴파일 하는것 (재컴파일은 하지 않음)

Rebuild solution - ctrl + alt + F7, 컴파일한것 다지우고 다시  컴파일.

clean solutiont - 컴파일한 파일을 모조리 지운다.(컴파일은 실행하지 않음)

ctrl + F7 - 컴파일을 하는데 우리가 소스를 구성하다 문법이 틀렸을 경우

               유용하다. 가장 많이 사용.

start debugging - F11, 한줄 한줄씩 변수값이나 다른 값들을 보고 싶을 때 사용.

step over - F10 - printf문이 있을때 디버깅이 잘되지 않는다. 그럴때 뛰어넘을 때 사용.

shift + F11 - 디버깅된 한 부분을 도망쳐나온다. printf문에 모르고 F11을 눌러서 이상한 글자(assembly)가 나오면 그화면을 빠져나오게 하는 기능이 있다.

shift + F5 - 전체 다시 디버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