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마스터1급/합격후기

리눅스마스터1급 최종합격후기

송시혁 2020. 6. 20. 00:00

 

리눅스마스터 1급을 드디어 합격하였다.

 

2020년 5월 9일날 시험을 봤다. 그 날 비가 와서 너무 좋았다. 비오는 날은

떨어진적이 없어서, 합격을 예감했다 ㅎㅎ

 

문제도 2018년, 2019년도에 비하여 쉽게 출제가 되었다.

 

필자는 2018년 11월 부터 2019년 11월까지 3차례에 2차 실기시험에

불합격했다. 2019년 상반기, 하반기 시험은 공부를 안해서 그렇다쳐도

2018년 11월에 친 시험은 정말 열심히 했는데도 불구하고 떨어졌다.

 

그래서 필자는 2020년 5월 9일에 시험을 볼때 너무 긴장해서 답안지를 몇번이나

지우고 또 지우면서 풀었다.

 

너무 긴장해서 스펠링이 안 써질 정도로 긴장하였다. ㅜㅜ

그러나 결과는 아래와 같이 합격을 했다. 휴~


대략 문제는 2018년도 문제와 2019년도 문제를 조합해서 나왔다. 

 

yum 명령어에 옵션이나 ssh 설정 문제는 2018년도 11월 친 시험문제 그대로 

되었다. 다만, 2018년 yum 에서는 yum (search telnet) 이 답이였다면 

이번에는 'search' 만 적게끔 나왔다. 

 

필자가 2018년도에 'telnet'이라는 문자열만 빼고 적어서 틀렸다. ㅜㅜ

그 뼈아픈 기억을 더듬고 정말 문제도 꼼꼼이 읽어보고 풀었다. 

 

1. passwd 명령어와 옵션 

 

2. chmod 문제인데 바보같이 틀렸다. ㅜㅜ

 

3. renice 문제. 이건 2018년도 상반기? 한번 출제되고 안나오다가

   이번에 나왔다. 

 

4. yum 명령어 옵션 (위에서 언급)

 

5. make distclean, menuconfig

 

6. /etc/fstab 문제, 문제는 ext4 파일시스템으로 

   사용량 제한이다. 4번째 인자에 defaults, usrquota 이렇게 

   같이 써야 하는데, defaults 빼먹었다 ㅜㅜ

 

7. 시스템 로그 ssh 

   authpriv.* 은 맞췄으나, 특정 호스트 설정인 @@IP를 맞추지 못했다.

 

8. lastb -f 파일과 날짜. 이것도 2018년도에 나온것인데, 이번에는 답이 

   쉽게 나왔다. 4번처럼. 

   lastb -f 가 답이였다면, 이번에는 lastb , -f 답이 이렇게 따로 적게끔 나왔다. 

 

9. ssh 설정. /etc/sshd_config, PermitRoot? 인가 기억이 안남. 어쨌든 맞춤. 

 

10.  cpio  문제. 이것도 2018년도 11월에 똑같은 문제인데, 답안을 쉽게 

      작성하게끔 나왔다. 정만 2018년 도 하반기 2차 문제는 더럽게 

     나온것 같다. 

 

11. 아파치 웹 서버 /etc/httpd/conf/httpd.conf 

     설정에 관한 파일. 2018년도와 2019년도는 더럽게 이상한 

     option을 적는 문제를 출제. 물론 필자의 기준으로 더럽다고 하는 것. 

     이번에는 일반적으로 ServerName, DocumentRoot, DirectoryIndex 이런게 나옴. ㅋㅋ

 

12. 삼바 설정. 이거는 2019년 상반기 2차시험과 비슷하게 나옴. 

    보통 /etc/samba/smb.conf 설정에서 

 

보통 윈도우가 리눅스 폴더로 접근할때 설정으로 많이 나왔으나, 

윈도우 설정 이름으로 접근할때로 설정으로 나옴. 

 

2019년 상반기가 그러했고, 이번에도 나옴. 2019년 상반기 문제를 

풀때 꾀나 당황하였으나 이번에는 맞춤. ㅋㅋ

 

13. /etc/mail/에 있는 sendmail 설정.

이번에 풀면서 가장 많이 고민한 문제. 

갑자기 기억이 안남 ㅜㅜ

/etc/mail/local-host-name , sendamail.cf /etc/access 거부설정. 

이번 시험에서는 개인적으로 이게 젤 어려웠음. 

 

14. dns 설정. 

DNS zone 파일 설정. 가장 기본적인 도메인 

설정이 기억이 안남. ㅋㅋㅋ

/usr/share/doc/bind/sample 에 봐도 안나와서 애먹음. 

 

15. squid 설정. proxy 설정인데

시험치기 2일전에 squid 공부함. 다행히 쉽게 나옴. 

port설정과 IP에대한 별칭설정. 접근 옵션같은 기본적인

옵션이 나옴. 

 

16. iptables 설정. 

보통은 iptables 를 이용한 nat ip 설정이나 

정책 추가나 삭제가 나옴. 이번에는 

iptables-save와 iptables-restore가 나옴. 

물런 iptables -F 정책이나 

iptables -L 도 나옴. 필자는 라인수 까지 나오는걸 

좋아해서 iptables -nL이라고 적었으나, 문제공개에서 

정답처리은 하지 않은것으로 보인다. 

 iptables -L이나 -nL의 차이는 라인수 나오나 안나오나 

차이인데.... 뭐 어쨌든 합격했으니 그냥 넘어감. ㅋㅋㅋㅋ

 

 

 

등등이 나옴. ㅋㅋㅋ